
최근 중국 AI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대표적인 빅테크 기업 알리바바가 새로운 AI 모델 **'큐원(Qwen) 2.5-맥스'**를 발표하며, AI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딥시크(DeepSeek)를 능가한다고 선언했다. 이는 중국 내 AI 경쟁이 한층 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알리바바의 '큐원(Qwen) 2.5-맥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1월 29일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큐원(Qwen) 2.5-맥스' 모델을 공개했다. 해당 모델은 20조 개 이상의 토큰을 사전 훈련 데이터로 사용했으며, 알리바바는 이를 통해 오픈AI의 GPT-4, 딥시크-V3, 메타의 LLaMA-3.1-405B 등 주요 AI 모델을 대부분의 영역에서 능가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AI 업계에서 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딥시크가 발표한 '딥시크-V3' 모델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딥시크는 높은 가성비를 자랑하는 AI 모델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중국 AI 경쟁의 격화
최근 중국 내 AI 기술 개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알리바바뿐만 아니라 '틱톡' 운영사인 바이트댄스 또한 자사 AI 모델의 업데이트를 발표하며 오픈AI의 최신 모델을 능가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알리바바는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사 모델의 이용 비용을 최대 97%까지 낮췄다. 이는 기업들이 AI 도입을 더욱 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딥시크 역시 저비용 AI 모델을 통해 시장을 공략하며 AI 업계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글로벌 AI 시장의 변화
중국 IT 기업들의 이러한 움직임은 AI 산업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이 오픈AI, 구글 딥마인드 등을 앞세워 AI 패권을 유지하려는 가운데, 중국의 기업들은 자체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앞으로 알리바바의 '큐원(Qwen) 2.5-맥스'와 딥시크-V3가 AI 시장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AI 산업의 글로벌 경쟁 구도가 어떻게 변화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경제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연말정산 하는 법: 쉽고 빠르게 끝내는 가이드 (2) | 2025.01.31 |
---|---|
워싱턴 여객기-헬기 충돌 사고: 생존자 없는 비극 (1) | 2025.01.31 |
국내 재벌들이 보유한 주식 TOP 종목은? (2) | 2025.01.30 |
틱톡 인수전: 글로벌 IT 기업들의 치열한 경쟁 (0) | 2025.01.30 |
딥시크(DeepSeek): AI 시장의 새로운 강자, 미국과 중국의 경쟁 구도 흔들다 (1) | 2025.01.28 |